아시아 뉴스 네트워크(ANN) 기고문

2019.11.18

다음 주 25일부터 27일까지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됩니다.
특히 내 고향 부산에서 열려 귀한 손님들을 집에 초대하는 것처럼 무척 기대됩니다. 아세안 정상들과 사무총장께 환영의 인사를 미리 전합니다.

한국은 아세안 대화상대국으로서는 최초로 아세안문화원을 설립했고, 아세안 10개국의 전통가옥 모습을 본뜬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을 운영할 만큼 아세안을 사랑합니다. 나는 아세안에 깊은 관심과 애정으로 취임 직후 특사를 파견했고,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아세안 10개국을 2년여 만에 모두 방문 했습니다. 아세안의 역동성과 아세안 국민의 따뜻한 미소가 지금도 생생합니다.
아세안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와 문화가 일상 속에 스며들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갑니다. 예의와 공동체를 중시하는 아세안의 모습은 한국과 닮아 매우 친근합니다. 우리는 아시아의 가치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아세안이 우리에게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10개국 간 다른 경제 수준과 정치 체제에도 불구하고 ‘아세안웨이’를 통해 동등한 참여와 기회를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자연, 사람, 국가 누구도 배제하지 않고 포용하며 성장하는 아세안의 모습은 지구촌의 미래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한국과 아세안이 공식적인 대화관계를 수립한 1989년은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냉전 이후 수십 년간 이어져 왔던 이념의 대결이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급격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계 각국은 더욱더 긴밀하게 연결되고 서로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환의 시기에 우리는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 후 한국과 아세안은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함께 대응하면서 30년간 우정을 꾸준히 키워 왔습니다. 2018년 한・아세안 상호 방문객은 1,100만 명을 넘었고, 상호 교역액도 역대 최고 수준인 1,600억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세계는 지금 보호무역주의와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자연재해와 초국경범죄, 사이버범죄 등 비전통적인 안보위협도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30년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러한 도전에 함께 대응해야 하고, 새로운 미래비전을 제시해야 합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평화를 향한 동행, 모두를 위한 번영’이라는 기치 아래 더욱 풍요롭고 평화로운 미래를 향해 한국과 아세안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아세안은 세계에서 가장 젊고 역동적인 경제공동체입니다. 무한한 잠재력이 지속가능한 번영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역내 연계성 증진과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중요합니다. 한국이 강점을 가진 교통 인프라, 스마트시티, 첨단 과학기술 등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할 혁신 역량을 함께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자유무역체제를 통한 교역 확대, 포용적 경제를 위한 중소기업 육성, 친환경 바이오산업과 같은 녹색성장 또한 한국과 아세안이 함께 협력해 나갈 분야입니다.

특별히 이번에 처음으로 개최되는 한・메콩 정상회의도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콩 국가들은 연 6%가 넘는 고성장을 달성하면서도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나눔과 상호 존중의 ‘아시아 정신’으로 지구촌의 미래를 새롭게 열고 있습니다.
한국은 메콩의 발전이 곧 한국의 발전이라는 생각으로 ‘한・메콩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은 도로・교량・철도・항만 건설 등 인프라 지원을 통해 메콩 국가들 사이의 연계를 돕고, 메콩 지역의 발전과 함께할 것입니다. 메콩은 앙코르와트, 바간(Bagan), 왓푸(Wat Phou)의 자부심과 저력을 가진 국가들입니다. ‘우리도 할 수 있다’라는 한국의 새마을정신은 메콩의 농촌에 자신감을 불어넣어 ‘함께 잘사는 미래’를 열게 될 것입니다.

아세안의 성장잠재력과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많은 국가들이 아세안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협력 구상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올해 6월 아세안 국가들이 합의한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 관점’은 지역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비전입니다. 아세안 중심성・개방성・투명성・포용성・국제규범 존중 등 아세안이 제시한 협력원칙은 한국의 신남방정책과도 부합합니다. 한국은 책임 있는 역내 국가로서 상생을 최우선 가치로 아세안과의 지역 협력을 더욱 확대하겠습니다.
모든 관계 발전의 시작은 사람입니다.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상호 방문이 더 자유로울 수 있도록 비자절차 간소화, 항공 자유화 등 인적교류 관련 제도들을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인재양성의 힘으로 발전했던 한국의 성장경험을 되살리고, 아세안의 개발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해 각 분야에서 아세안의 미래세대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대화를 통한 합의(consensus)와 협의’라는 아세안의 기본원칙은 특히 한국에 많은 교훈을 줍니다. 아세안에서 열린 두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의 물꼬가 트였으며, 아세안 주도 메커니즘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북한이 참여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대한 고비들이 남아 있습니다. 한반도의 평화는 동아시아 전체의 안정과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는 만큼, 지난 수십 년간 대화와 상호 이해를 통해 능동적으로 평화를 진전시켜온 아세안 국가들이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이라는 여정에도 믿을 수 있는 친구이자 조언자로서 동행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도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깊은 논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합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부산은 한국 제1의 항구도시로, 아세안을 향한 바닷길이 시작되는 관문입니다. 대륙과 해양을 잇는 부산에서 공동번영과 평화 실현을 위한 한국과 아세안의 지혜가 만나기를 기대하며, 아세안 국민의 관심과 응원 또한 바다 건너 부산에 닿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