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비즈니스포럼/서밋
2019.11.26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아세안 스타트업 서밋 및 혁신성장 쇼케이스
. . .
존경하는 아세안 정상 여러분, 아세안 스타트업과 경제인 여러분!
대륙과 해양을 잇는 한・아세안의 관문 부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특별히 한・아세안의 혁신 주역들과 아세안 10개국 정상 모두를 모신 자리에서 ‘한・아세안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아세안은 젊고 역동적입니다. 인구의 60%가 35세 이하의 청년층이고 매년 5%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혁신과 스타트업의 열기도 뜨겁습니다. 선발주자가 경험한 발전단계를 혁신을 통해 훌쩍 뛰어넘어 따라잡고 있습니다. 립프로깅(leapfrogging: 건너뛰기)은 아세안의 익숙한 모습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마케팅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 교수는 “아세안이 4차 산업혁명의 최적지”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세안의 자신감과 잠재력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한국도 대기업 중심의 경제에서 혁신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중심 경제로 탈바꿈하고,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가기 위해 신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오늘 행사의 슬로건처럼 스타트업이 한・아세안의 미래를 부흥시킬 것입니다.
한국과 아세안이 협력하면 할 수 있습니다. 함께 스타트업을 일으키고 세계경제를 선도합시다.
정상 여러분, 혁신 경제인 여러분!
나는 아세안의 발전이 한국의 발전이라 생각하며 신남방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취임 2년 만에 아세안 10개국을 모두 방문했고, 아세안 곳곳에서 혁신과 기회, 희망을 보았습니다.
필리핀의 유니콘기업 레볼루션 프리크래프티드(Revolution Precrafted)는 ‘모듈러주택’이라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더욱 발전된 조립주택 방식으로 부동산 개발을 글로벌 사업화하는 데 성공했고, 주택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고젝(Go-Jek)의 CEO 나딤 마카림(Nadiem Makarim)은 오토바이 택시오젝(Ojek)의 문제점을 느끼며 오히려 기회를 포착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공유차량 고젝은 유니콘을 넘어 데카콘(Decacorn)기업으로 성장했고, 인도네시아 국민의 일상생활을 완전히 바꿔놓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유니콘기업 그랩(Grab)은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오투오(O2O) 서비스 플랫폼으로 국민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습니다. 공유경제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고,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그랩을 통해 소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의 스타트업 북 미 버스(Book Me Bus)도 운송시장에 공유경제 기반 디지털 플랫폼을 도입하여 영세 운송업체들이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게 했습니다.
스타트업은 그 자체로 혁신이며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이고 희망을 공유합니다. 아세안이 가는 스타트업의 길에 한국이 동행하겠습니다.
한국정부는 혁신 창업국가를 국정과제로 삼았습니다. 제2벤처 붐 확산 전략, 혁신금융 비전을 추진하며 스타트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신설법인 수는 지난해 사상 최초로 10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유니콘기업 수도 2016년 두 개에서 올해 열 개로 늘어 세계 6위를 기록하며, 혁신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혁신에는 국경이 없습니다. 융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계는 무의미합니다. 개별국가 차원의 스타트업 정책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스타트업 정책도 국가간 협력이 필수입니다. 앞서 홀로그램 퍼포먼스에서 보신대로 유니콘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도록 한・아세안 11개국이 하나가 된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말레이시아의 글로벌 창업혁신센터, 브루나이 중소벤처청의 비전을 응원합니다. 베트남의 ‘스타트업 생태계 혁신 2025 전략’, 인도네시아의 ‘2020 고 디지털 비전(Go Digital Vision)’, 태국의 ‘태국4.0’과 캄보디아의 ‘ICT 마스터플랜’, 싱가포르의 ‘스마트네이션 전략’과 미얀마의 ‘지속가능발전계획’, 필리핀의 ‘국가비전 2040’과 라오스의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 모두와 지혜를 나누고 경험을 공유하겠습니다.
아세안 정상 여러분, 아세안 스타트업과 경제인 여러분!
한・아세안의 ‘스타트업 파트너십’ 합의는 매우 고무적인 일입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한 한・아세안 스타트업 엑스포, 컴업(ComeUp)을 연례행사로 만들어 스타트업 간 교류의 장을 제공하겠습니다. 스타트업 중장기 로드맵을 공동수립하여 벤처투자자들에게 스타트업 정책과 정보를 알리고, 함께 투자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겠습니다. 한・아세안 스타트업 장관회의를 구성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협력 체계도 마련할 것입니다.
오늘 스타트업 서밋은 한・아세안 간 스타트업 협력과 연대를 처음으로 선언하는 자리입니다. 매우 중요한 날인만큼 특별한 손님들이 와 계십니다. 한국 진출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에 와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아세안 스타트업 40개사의 대표님들입니다. 한・아세안 스타트업 협력과 생태계를 이끌어갈 주역들입니다. 2024년 한・아세안 스타트업 서밋에서는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한 여러분을 특별연사로 모실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곧이어, ‘한・아세안 혁신성장 쇼케이스’가 열립니다. 한국과 아세안의 스타트업들이 함께 만든 혁신의 장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오늘을 계기로 하나의 생태계 속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스타트업들이 협력하고 새로운 30년, 모두를 위한 번영을 이끌어가길 기대합니다. 아세안 정상들께서도 힘을 모아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힘차게 스타트업(start up)합시다!
감사합니다.